국내유일 ISO17100 국제번역표준 번역회사 대한번역개발원은?

국내유일 ISO17100 국제번역표준 번역회사 대한번역개발원은?









점점 확장되고 있는 번역시장 규모는 2019년에 무려 8조원을 예상하고 있다.
여러 언론에서 말하 듯, 매년 번역시장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가령, 자동차 한대 생산에도 2만가지의 부품이 들어가고
그 부품마다 매뉴얼이 필요하니 산업시장에서
번역의 수요가 어마어마함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국제사회에서도 번역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미 반복적으로 언급되어 오고 있고, 이를 통해 
국제표준화기구인 ISO에서도 국제번역표준으로 표준된 규정화 작업을
지속적으로 이루어내고 있다.

그 중, 기존에 유럽언어서비스표준을 개선하고 보완한 
ISO 17100 국제번역표준 번역서비스는 과연 이슈가 되고 있다.

번역서비스에 관해 국제규격을 규정하여 
번역 품질에 필요한 공급자, 고객, 번역서비스, 자격인증, 번역품질, 인재개발 관리 부문까지 국제적으로 표준화하여 규정한 것을 말하는데 엄격한 심사를 거친다고 한다.







이러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 국제번역표준 인증을 받을 경우에는
번역프로세스 국제번역표준에 맞게 이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번역회사 입장에서는 더욱 번거롭고 세부적인 과정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적용될 경우에는 거래처에 더욱 만족스러운 번역품질을
제공할 수 있따는 장점과, 고객의 이익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호평을 얻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규격대로 이행할 경우 효율적인 번역 처리가 가능할 뿐더러
번역 프로세스에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번역회사에게도 메리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미 번역 문화가 자리잡혀있는 유럽을 포함해 번역선진국에서는
제도화 되어 있지만, 국내에서는 대한번역개발원이 유일한 인증업체다.





ISO 17100 인증을 받은 대한번역개발원은 
국제번역표준 인증을 바탕으로 번역회사의 수행능력과
품질을 보증하고 있으며, 번역프로세스를 통해 국제표준에 맞는 용어로 통일화하여
기존에 거래처에서 혼란스러워 하던 번역프로세스 이해도를 정확하게 설명하며
안정된 번역품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거래처에서 신뢰할 수 있는 기반을 가다듬었는데
그 중 으뜸이라 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국제표준 자격조건에 맞는
수행자를 보유하였다는 점이다.

수행자란 번역가, 교열자, 감수자, 교정/편집자, 번역PM을 말하는데
번역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사람들을 칭한다.
국내에서는 거래처가 번역회사를 선택할 때 
번역가 외에 다른 수행자의 정보를 파악하기가 힘들어
번역가 혹은 번역회사만 보고 결정한 후에도 번역품질이 안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겼지만 대한번역개발원 국제번역표준에 맞는 역량과 자격에 맞게
수행자가 관리되고 있다는 점에서 거래처의 신뢰감은 물론
안정된 번역품질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위에서 설명한 체계적인 번역프로세스를 통해 
대한번역개발원은 고객처와의 납기일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었고
효율적인 번역이 가능하게 되며 국내·외 거래처 약 1,500여 개에서 
신뢰감과 공신력까지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국제번역표준에 인증을 통해 수 많은 공공기관, 대기업, OECD, 국제협력기구와
업무협약은 과거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도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게 되었다.

이제, 번역회사를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할지, 기준을 잡지 못했던 과거는 뒤로하고
국제번역표준 ISO 17100 인증을 받은 대한번역개발원의 번역서비스를 이용하여
지금까지 쌓아왔던 문제와 의문이 해결 가능해졌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